[조동용의 Issue 群山] '청년창업 제1의 도시, 군산을 만들자'
상태바
[조동용의 Issue 群山] '청년창업 제1의 도시, 군산을 만들자'
  • 조동용 전북도의원
  • 승인 2020.09.19 16:28
  • 기사수정 2021-03-13 0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동용 도의원(군산 3선거구)
조동용 도의원(군산 3선거구)

의대보다 공대가 인기 있는 나라는 초강대국인 옆 동네 중국이다.

OECD국가에서 우리나라는 유일하게 창업보다 공무원을 꿈꾸는 나라다. 1990년대 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는 공무원이나 의대보다 공대를 선호했고, 창업을 꿈꾸었던 나라였다.

무엇이 우리나라의 근간을 바꾸게 되었는지는 진지하게 돌이켜 볼일이지만 시장논리로만 보자면 기초학문이나 창업을 해서는 미래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군산은 고용산업위기지역으로 급격한 인구유출과 산업생태계의 붕괴로 자영업, 중소기업에 직격탄을 날렸다.

군산시는 소비형태를 바꾸는 대단한 아이디어(군산사랑상품권, 배달앱, 동네카페 등)로 경제위기 극복의 연착륙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까지 이어진 경제위기의 끝없는 나락은 시민들의 심리적인 불안감의 방어선을 넘어서고 있다.

군산시의 소비형태를 바꾸는 정책만으로는 경제위기의 파고를 넘어설 수 없으며 경제혁신을 통한 새로운 재화 창출의 생산모멘텀을 갈구하고 있다.

그렇다면 군산경제의 탈출구의 모멘텀을 어디서부터 찾을 것인가?

군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전기차클러스터,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를 비롯한 자동차중고수출복합단지 등 경제구조의 틀을 바꿀 수 있는 단초로서 많은 성과를 가져오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시민들의 확신이 부족해 보인다.

여기에 보태어 청년창업의 메카 '군산', 중소기업이 일하고 싶은 최고의 도시 '군산'을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그러나 군산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청년창업지원기관인 '청년뜰'과 사회적경제지원센터의 사업예산은 초라하기 그지없다. 중소기업의 창업생태계를 비롯한 당장 어려운 기업들에 대한 지원도 단기 처방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어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2020년 청년창업지원기관인 '청년뜰' 예산은 고작 7억 정도이며, 인건비와 일반경상비를 제외하면 사실상 3억 정도의 가용재원밖에 없으며, 사회적경제지원센터도 1년 동안의 가용재원이 1억 남짓하고 있다.

이 예산으로는 청년창업 및 새로운 경제시스템의 한 축을 맡고 있는 사회적경제분야의 성장과 비전을 갖는다는 것은 연목구어(緣木求魚)비유를 새겨야 할 일이다.

스웨덴 말뫼시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주고 있다.

우리는 성공한 말뫼시를 얘기할 뿐 무엇을 혁신 아이콘으로 가져갔는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부족하다. 또 말뫼시의 혁신 전략을 우리식으로 바꾸는 전략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한 전략 수립은 보이지 않는다.

스웨덴의 말뫼시는 우리 군산시와 유사하다.

말뫼시는 세계 최대의 조선업 중심도시였고, 대표기업은 ‘코쿰스’회사였다. 조선산업이 망하고 인구 24만의 도시였던 말뫼시는 20만으로 인구가 줄고 폐허도시처럼 변하였다.

2002년 말뫼시는 크레인을 한국 울산에 매각한 직후 코쿰스 공장을 매입했다. 낡은 외벽과 골조만 남긴 채 내부는 최신식으로 개조해 2004년 창업지원센터를 열었다.

초창기엔 시가 100% 지원했지만 현재는 운영비의 90%를 스타트업이 내는 회비로 충당할 만큼 건실해졌다.

말뫼시에 터전을 잡은 다수의 청년 창업자는 “도시 곳곳에 녹지공간이 풍부하고 주거 단지와 교육환경 역시 뛰어나서 두 자녀를 키우며 살기 좋다”고 말했다.

말뫼시 도시발전전략국장은 “제조업의 위기로 도시의 생존 자체를 위협받은 경험이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기업하기 좋은 환경만큼이나 좋은 학교·극장·공원과 같은 문화 기반시설을 짓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고 했다.

일자리와 인프라,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말뫼는 2014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꼽은 가장 혁신적인 도시 4위에 올랐다.

스타트업을 성장시킨 또 다른 원동력은 말뫼시가 크레인을 한국에 판 2002년 세운 창업 인큐베이터 ‘밍크’다.

모르텐 웨브릭 밍크 대표는 “스타트업을 키우는 것은 도시를 성장시키는 느리지만 가장 확실한(Slowly but surely) 방법”이라며 “밍크에 입주한 70%가 창업에 성공하고 그중 20%는 큰 성과를 거둔다.”고 말했다.

창업지원기관인 ‘밍크’의 역할은 전쟁의 최일선에 나선 장수의 역할처럼 중요했다.

그 외에도 말뫼시의 도시개조사업은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혁신의 주요 성과만 요약하면 첫째, 단순한 지원에 그치지 않고 중장기 전략에 기초한 장기 투자를 이끌어내 냈다.

둘째, 대학의 산업적 연관기능을 최대한 살렸다. 셋째, 주거, 문화, 복지, 교육 조건을 종합적으로 견인해 냈다.

끝으로 지속적인 혁신 거버넌스를 운영했다는 것이다.

2020년 9월 19일 제 1회 청년의 날을 지정해 기념식을 치렀다. 청년이 없이는 혁신 군산이 없음을 인식하고 새로운 출발을 위해 심기일전하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