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욱의 望市作記] 수 년째 인구 하락세 군산 新인구개념 ‘생활인구’는?
상태바
[정영욱의 望市作記] 수 년째 인구 하락세 군산 新인구개념 ‘생활인구’는?
  • 정영욱 기자
  • 승인 2024.01.08 15:03
  • 기사수정 2024-01-08 15: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첫 도입한 제도… 2023년 4~ 6월까지 생활인구 산정
주민등록인구+ 등록외국인+ 체류인구(월 1회, 하루 3시간이상 체류)
생활인구 늘리려면 ‘뉴군산살기’와 같은 관광객 유치 전략 짜야
(자료사진)수송동 전경./사진 출처=군산시
(자료사진)수송동 전경./사진 출처=군산시
정영욱 '투데이 군산' 대표
정영욱 '투데이 군산' 대표

전국의 지자체들은 인구증대에 사활을 걸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짜내고 있지만 군산의 상황은 매우 암담하다.

군산의 인구는 매년 감소세를 거듭하고 있어 새로운 발상의 전환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도내 최고의 산업도시임에도 그 위상의 추락은 불을 보듯 뻔하다.

# 군산 인구, 수년새 추락세

군산은 어떤가.

군산의 인구는 수년동안 감소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시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군산시 인구는 25만9,980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달인 26만330명 보다 무려 350명이 줄어들었다.

2022년 12월 말 26만2,467명과 비교하면 1년새 2,487명이 감소한 것이다.

군산은 2017년 7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과 2018년 5월 말 한국지엠공장 군산공장 폐쇄 등 지역경제침체의 여파로 매년 인구는 감소하고 있는게 현주소다.

이에 군산인구는 1995년 군산시와 옥구군이 통합한 이후 25만명대로 내려앉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나마 군산 인구가 가장 적었던 때조차 2007년 26만562명이었다.

이런 흐름은 수도권을 제외하고 전국의 대다수 지자체들의 공통된 고민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각 자치단체들은 워케이션, 농촌유학, 치유산업 등 생활인구를 늘리기 위한 다양한 사업 추진에 온힘을 다하고 있다.

전남 강진군은 농가에 숙박하며, 텃밭 가꾸기, 음식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푸소’를 운영해 5만여 명의 방문객을 유치했다.

강원 평창군, 충북 제천시 등 15개 자치단체도 지역 방문객에게 숙박· 식음· 체험 등 각종 여행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디지털 관광 주민증’을 운영 중이다.

이중 가장 돋보이는 곳은 강원 평창군.

평창군은 6만 7,000여 명에게 관광주민증을 발급하는 등 엄청난 성과를 냈다.

제주도는 오래전부터 엄청난 관광인파와 제주살기 프로그램 등을 운영, 인구유치에 성공했을 뿐 아니라 관광객 1,000만명 시대를 넘어선 지 오래다.

# 생활인구 사례 중 ‘보령시 모범’… 군산시에겐 기회?

향후 수년내 지방소멸이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접근법이 ‘생활인구’의 개념 도입이다.

최근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은 지역에 체류하는 사람까지 인구로 보는 신(新)인구개념인 ‘생활인구’의 최초 산정 결과를 공표했다.

이번 생활인구는 교통· 통신의 발달로 이동성과 활동성이 증가하는 생활유형을 반영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된 개념이다.

생활인구란 기존 주민등록인구· 등록외국인(등록인구)뿐 아니라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체류하는 사람(체류인구)으로 구성된다.

이번 결과는 7개 인구감소지역을 공모를 통해 2023년 4월부터 6월까지 생활인구를 산정한 것.이번 생활인구 산정에는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정보, 법무부의 외국인등록· 국내거소신고 정보와 통신3사의 이동통신 정보를 가명결합한 자료를 활용했다.

통계청은 이를 토대로 지역별 생활인구, 체류인구의 규모를 포함하여 체류특성 및 숙박특성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개인정보위는 생활인구 산정연구를 가명정보 결합 선도사례로 선정하고 데이터의 가명처리 및 결합, 내부지침 수립 등 가명정보 활용 전반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했다.

공모한 7개 지역은 체류목적을 중심으로 △ 관광유형(충북 단양군, 충남 보령시) △ 군인유형(강원 철원군) △ 통근유형(전남 영암군, 경북 영천시) △ 외국인유형(전북 고창군) △ 통학유형(경남 거창군) 총 5개의 유형으로 구분됐다.

이 기준에서 새롭게 다가온 곳은 충남 보령시다.

작년 6월 기준으로 주민등록인구가 9만6,500여명의 인구가 생활인구의 개념을 도입하면 52만7,800여명에 달한다는 통계다. 관광유형지역답게 군산 등에는 매우 의미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 군산의 생활인구는?…  뭘 준비해야 하나

행정안전부는 생활인구의 분석 결과를 각 부처와 자치단체에 제공, 각종 인구감소 대응사업· 시책 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관광 목적의 생활인구가 다수인 지역에서는 지역 축제 방문객의 성별· 연령대· 체류시간대 등 특성을 파악하여 축제 콘텐츠 개발 및 홍보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지역에 외국인 생활인구가 많은 경우에는 그 규모와 특성을 고려하여 외국인 정착유도 사업이나 각종 주거· 복지 지원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그러면 군산의 생활인구는 얼마나 될까.

우선 당장 생활인구를 정확히 추계해서 정부정책에 걸맞게 활용할 수 있게 논리를 개발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가 아닐까 싶다.

기존 인구가 감소하더라도 체류형 관광객 유치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목소리다.

물론 군산시는 주민등록상인구의 증대를 위해 기업유치와 각종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하겠다.

군산 인프라의 비교우위는 바다와 새만금, 섬의 매력(고군산군도, K-관광섬) 등 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객 유치와 기업유치란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아야 가능하다.

그래도 기업유치는 상당한 가능성이 있다. 이미 2차전지 업체들의 새만금 입주가 쇄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다만 관광객 400만명시대를 획기적으로 넘어서기 위해선 다른 도시처럼 ‘디지털 관광 주민증’도입은 물론 제주 한달살이를 벤치마킹, ‘3일 살기’나 ‘4일 살기’ 등과 같은 세분화된 ‘뉴군산살기’란 방안을 적극 검토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