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업체 새만금 산단 입주 쇄도에도 인력 수급 ‘초비상’
상태바
이차전지업체 새만금 산단 입주 쇄도에도 인력 수급 ‘초비상’
  • 정영욱 기자
  • 승인 2023.11.02 11:20
  • 기사수정 2023-11-03 1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2개사 유치· 투자문의 잇따라 연내 10조 투자도 기대감 속 인력은?
인력수요만 약 1만명 추산… 향후 2~3년 가동될 때 인력조달 가능할까
도내 전문양성기관… 대학 · 지역 전문계고 등으로 수급 불균형 불가피
고급인력 확보위해 수도권까지 연계전략 마련· 젊은층 유인 방안 절실
사진=새만금산단
사진=새만금산단

군산국가산단과 새만금산단에 2차전지업체들의 입주가 쇄도하고 있지만 인력 확보에 초비상이 걸렸다.

특히 고급인력확보를 위해서는 1~3년 내에 대학 등 도내 전문양성기관은 물론 마이스터고(공고)를 잇는 인력양성생태계를 만들어야지만 조기에 구축될 수 있을지 궁금해지고 있다.

군산시와 새만금개발청 등에 따르면 군산국가산단과 새만금산단에 입주한 2차전지 업체는 총 22개사(24건) 투자규모 8조350여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새만금산단에는 입주한 업체와 투자규모는 모두 18개사 7조8.221억원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여기에 필요한 인력은 대략 7,100~1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문제는 입주에 맞춰 전문인력을 제때 공급받을 수 있느냐다.

전주와 군산, 익산 등에 도내 대학이나 전문계 고교(공고 및 마이스터고), 인력훈련기관 등이 풀가동, 제때 인력수급시스템을 갖출 수 있는지 여부다. 즉, 여기에 걸맞은 인력양성시스템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을 경우 수급불균형에 따른 극심한 인력난은 불을 보듯 뻔하다.

더 큰 문제는 낙관적인 기대감처럼 인력양성시스템이 갖춰졌다하더라도 연구개발직 등 고급인력 확보와는 거리감이 여전하다는 점이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급성장과 출혈경쟁 등으로 인력부족현상이 전국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젊은층들이 지방이주문제를 꺼리는 현상을 해결하기가 쉽지않다는 게 그 고민의 출발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쏠려 있는 젊은 고급인력들이 처우와 워라벨· 문화 등을 향유할 수 있는 곳을 선호하는 바람에 지방근무를 이끌어낼 수 있는 동인(動因)과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아낼지는 의문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전북도와 군산시, 새만금개발청 등은 인력양성과 인력확보 노력 등에 다른 지자체들에 비하면 느림보 행정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자초하고 있다.

반면 대구와 포항 등은 2차전지 산업생태계를 구축한 선도도시지만 이런 고민 때문에 대책마련에 발빠르게 나서고 있는 것과 매우 대조적이다.

실제로 포항시 등은 지역 등에 입주해 있는 2차전지 선도업체라 할 수 있는 에코프로그룹과 포스코그룹 등과 함께 해당지역의 대학과 유기적인 산학협력체제 구축은 물론 심지어 수도권대학과 손잡고 고급인력 육성과 유치 등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전북도와 군산시, 새만금개발청 등의 대응방안이 제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전북도와 전북대 및 2차전지업체들은 지난 9월 중순 전문인력양성을 위해 이차전지 기업 20개사 대표와 ‘2차전지 산업 인재양성 협력을 위한 상호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을 뿐이다.

여기에는 SK넥실리스· 오디텍·비나텍(주) 등 도내 18개 업체와 에코프로(충북)· ㈜씨에스에너텍 (경기) 타 시도 2개 업체도 참여했다.

전북도는 업무협약에 참여한 기업 및 전북대와 함께 2차전지 산업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내 관련 학과 신설과 이차전지 산업 연구개발 및 현장실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핵심적인 고민이라할 수 있는 ‘진짜 인력난’ 의 근본문제는 연구개발을 담당할 핵심 고급인력 수급인데도 특정대학만을 의존해서 제대로 해결할 수 있지에는 여전히 의문부호가 뒤따르고 있는 상황이다.

한마디로 도내 대학과 기업, 행정은 합심해서 수도권 연구인력의 유치를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대안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하는데  이런 정도의 노력으로만으로 제대로 된 처방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목소리다.

이에 전문가들은 “전북도 등은 2차전지를 직접 교육할 수 있는 대학의 학과는 물론 연계성이 있는 화학공업과조차 설치되지 않았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관련 산업발전에 많은 장애요인을 낳을 것”이라면서 산학관의 유기적인 협조체제 구축 등에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