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을 걷다 #47] 구암 3.1로와 ‘옛 군산역’ 영광과 그리고 폐역(上)
상태바
[군산을 걷다 #47] 구암 3.1로와 ‘옛 군산역’ 영광과 그리고 폐역(上)
  • 정영욱 기자
  • 승인 2021.11.22 14:51
  • 기사수정 2022-01-17 09: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12년 군산선 개통… 수륙(水陸) 양면 수탈체제의 완성 군산항 수탈항 전락
철도 도시의 꿈 ‘현재진행형’…항만‧ 신항만과 유기적인 연결통해 지역발전 꾀해
군산역 1910년대/사진 출처=군산시
군산역 1910년대/사진 출처=군산시

 

군산은 개항 이후 기차역과 비행장, 항만을 지닌 전국에서 교통의 요충지였다.

특히 군산을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했던 것은 군산역의 탄생 때문이었다 해도 과언은 아니었다.

개항 이후 지금의 월명동과 영화동 등이 중심이었던 도시가 팽창하게 된 것은 군산역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었던 것. 일제강점기 때 군산의 SOC(사회간접자본: Social Overhead Capital의 약어) 위상은 다른 도시를 능가할 정도로 대단했단다. 전국적인 도시이자 도내 경제 주도권을 향유했던 경제중심도시였다.

군산항 개항(1899년), 전군가도(후엔 번영로)의 개설(1908년)과 군산선의 개통(1912년)으로 일본인들은 충남과 전북의 모든 길은 군산으로 통한다고 자랑할 정도로 육상과 해상의 물류중심지였다. 이런 모든 SOC 건설이 식민지 수탈을 위한 흉계, 다름 아니었으니….

당시 철도의 위상은 대단했다. 항구가 해외로 가는 길목이었다면, 철도의 개통은 다른 도시로 연결되는 장거리 육상여행 시대를 연 대단한 사건이었다.

하지만 100년 가까운 역사의 옛 군산역은 사라지고 약간의 흔적만 남아 있는 게 현실이다.

사라진 군산역 자리는 새로운 ‘구암3.1로’가 연결돼 지금은 거의 옛 모습을 찾기조차 힘들 정도로 상전벽해가 됐다.

옛 군산역은 내적으로 구시장로와 중앙로, 미원로 등과 긴밀한 연계되는 중심교통망이기도 했다.

기존 구암 3.1로는 구암동에서 중동로타리(지금은 중동4거리)까지였는데 2010년 12월11일 도로망 확보를 위해 역사(驛舍)가 철거되면서 이 도로가 연장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3.1도로는 중앙로 3가(중앙로)에서 구암동까지 3.773㎞를 연결하는 도로로 하루 수만대가 오갈 정도로 대로로 변했었다.

1910년대 군산역/사진 출처=군산시
1910년대 군산역/사진 출처=군산시

 

 

군산 철도 도시의 서막… 어떻게 들어왔나

군산의 철도 개통에 관한 비사와 내용은 김중규의 군산이야기 등의 책자에서 참조했다.

최초의 호남선 철도공사 계획은 1906년 충남 강경으로부터 목선을 타고 군산에 나타난 시라이시라는 공학박사와 그의 조수들에 의해 비롯됐다. 이들 측량반은 일본 제국주의를 지탕하던 미쓰비시에서 계획 중인 한반도의 서해안을 가로지르는 철도 부설 공사권을 선점하기 위한 준비 작업차원에서 상대 경쟁회사들 비밀리에 파견된 것이었다.

이 조사반의 본격적인 철도부지조사사업은 1907년 3월 시작됐는데 이 측량반은 표면적으로 대한제국 농상공부의 위촉을 받아 측량을 한다고 둘러댔다. 이 측량반은 2개조로 나뉘어 한 개조는 조치원에서부터 남쪽으로 내려오고, 다른 한조는 목포에서부터 북쪽으로 측량을 해왔다. 조사기간만 6개월이 소요됐다.

하지만 철로노선을 놓고 예상치 않은 사태가 벌어졌다.

군산과 전주의 입장이 달라 노선변경사태를 불러일으켰다. 군산지역민은 철도공사에 대찬성인 반면 전주는 완강히 반대했다. 양측은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다.

그 이유는 전주는 지역유림들이 들고 일어나 철도가 들어서면 전주의 지맥(地脈)이 끊기고 지반이 울려 명당의 기운이 다한다는 풍수지리를 내세워 반대했다.

반면 군산지역의 일본 상공인과 대지주들은 철도가 지나야 토지 수탈과 쌀의 원활한 운송이 가능해져 지역발전을 꾀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찬성했다.

양 지역의 상반된 의견과 철도부설권을 놓고 알력이 일어나면서 총독부가 직접 나서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 것.

1907년에서 1910년까지 의병항쟁이 전국으로 확산되자 군산의 철도건설은 한일합방 후로 자연스럽게 지연됐다.

군산과 전주의 철도 노선을 둘러싼 다툼은 2라운드를 맞게 되는데 양 도시에 각각 수천정보의 거대농장을 두고 있었던 미쓰비시와 오오꾸라그룹의 자존심 싸움으로 번져 또 한 번 격화됐다

미쓰비시의 전주 매암리선과 오오꾸라의 군산 지경리선이 격돌하지 총독부는 고육지책으로 전주와 군산의 중간지인 익산의 목천포선으로 결정하게 된 것이다. 이 때문에 전북의 변방이었던 작은 마을 솜리(향후 이리→ 익산)가 철도 교통중심지로 부상하는 계기가 됐다.

군산역 내부/사진=군산시
군산역 내부/사진=군산시

 

 

군산선 96년간 존속… 철도 시대 화려한 개막

군산과 전주 철도 노선 싸움은 익산의 어부지리로 끝났다. 이로써 당시 이리(익산)는 교통도시로 부상, 새로운 지역발전의 전기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일제는 여전히 군산의 물류거점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1912년 호남선의 지선인 군산선을 개통했다. 총길이는 23.1km. 여기에는 개정역, 대야역, 임피역, 오산역 등과 같은 추억의 간이역이 있었고 오늘날은 임피역사만 남아 있다.

일제는 군산선의 개통으로 수륙양면의 수탈체제를 갖춰 이익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됐다.

첫 번째 이익은 물류 유통의 원활화로 군산과 수운 상권이란 측면에서 경쟁관계에 있었던 강경 상권을 몰락시킬 수 있었고, 두 번째로는 내륙의 농산물을 쉽게 군산으로 운송시키고 일본 자본의 내륙진출을 도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셋째로는 군산으로의 철로 개통으로 항만과 철도를 연결, 대륙침략 전진기지로서 군수 및 병력 수송 등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는 극대화했다.

1912년 3월6일 호남선의 지선으로 군산선이 개통될 때 세워진 군산역은 2층 규모의 일본식 목조건물 모습을 갖춘 지역 내 최고의 건물 중 하나였다.

역의 특징은 사진 속의 군산역이 북한의 평양과 같은 설계로 만들어진 판박이였다는 점이다. 또한, 역 앞에는 당시 시내에 몇 대 설치되지 않았던 공중전화기가 있었는데 나무로 만든 군용초소 모양의 공중전화 부스 안에는 구형 수동식 전화기가 놓여 있었단다.

전화요금은 한 통화에 2전이었는데 요즘과는 달리 통화시간은 무제한이었다. 역전에 기차가 도착할 때면 기차에 내리는 손님을 맞기 위해서 인력거와 택시가 역전광장에 모여들었는데 여기에 주변 여관의 호객꾼들이 대나무로 만들어 한지를 바른 일본식 등(燈)에 자신들의 여관 이름 적어들고 나와 손님 유치전을 벌이는 소동까지 벌였을 정도다.

이 군산역사는 한국전쟁 때(1950년 7월1일) 폭격으로 전소됐고, 폐역 직전까지 있었던 역의 소화물 창고 자리가 최초의 군산역사 자리였다고 한다.

그 당시 군산선의 종착역은 옛군산역 자리가 아닌 1944년 폐지된 한전 군산지사 뒤편의 내항에 자리했던 군산항역이었다.

1931년 역무원이 배치된 간이역이었던 군산항역은 개찰구만 있었는데 군산 내항의 여객선 도착시간에 맞춰 열차를 운행했다. 장항에서 도선을 타고 온 사람들이 간이역 시설을 갖춘 이곳에서 승차한 뒤 옛 군산역을 지나 내륙으로 갔단다.

현재 군산항만 역사(驛舍)는 사라졌으나 이때 놓여진 6개의 내항 철길은 진포해양테마공원과 옛 조선은행 군산지점 사이의 벌판에 역사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은 채로 남아 있다.

옛 조선은행 쪽의 철로 3개는 1912년 일본인들이 충청과 호남지방의 쌀을 수탈하기 위해 개설한 것이며, 진포해양테마공원 옆쪽 철로 3개는 1933년 축항사업이 되면서 추가로 만들어졌다.

일제강점기 전주~군산 간을 운행하던 열차는 작은 협궤열차였는데, 이 열차가 하루 4회 군산과 전주를 왕복 운행했단다. 당시 열차 탑승요금은 ‘ 1원40전’이었으며 소요시간은 1시간 40분이었다. 1970년대는 동차란 이름으로 운용됐고 그 추억물을 기억하는 지역민들이 적지 않다.

군산역 기차 모습/사진 출처=군산시
군산역 기차 모습/사진 출처=군산시

 

한편 우리가 알고 있는 옛 군산역은 1960년 10월5일 신축 준공됐다. 이 역은 2007년 12월 장항선의 종착역이 되어 내흥동 현 군산역으로 이전했고, 군산화물역으로 개칭됐다가 2008년 7월1일 화물열차까지 운행이 중지, 사실상 역으로의 기능은 상실됐다.

옛 군산역은 2010년 11월27일 폐쇄됐고 그해 12월11일 구암3.1로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역사건물이 헐어져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