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을 걷다 #104] 선교사들의 근대학교 설립 ‘군산미션스쿨’
상태바
[군산을 걷다 #104] 선교사들의 근대학교 설립 ‘군산미션스쿨’
  • 정영욱 기자
  • 승인 2023.06.08 16:24
  • 기사수정 2023-09-13 08: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03년 영명학교… 3.1운동 등 주도한 근대애국지사들의 산실
1903년 멜볼딘여학교… ‘메리 볼드윈대학’의 한국식 명칭
알락소학교… 알렉산더 의료선교사의 재정지원 기념한 학교
영명중학교/사진 출처=군산시
영명중학교/사진 출처=군산시
멜본딘 고등학교/사진 출처=군산시
멜본딘 고등학교/사진 출처=군산시

군산과 호남 기독교선교사에 가장 큰 영향은 뭐니 뭐니해도 근대사상 전파와 근대학교의 설립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 중심에 미국 남장로교가 있다.

남장로교가 세운 군산구암교회는 1900년대 초반에 소학교와 남녀학교 등을 잇따라 세웠다.

이 시기에 서울 등에서 언더우드, 아펜젤러, 스크랜턴 등의 선교사들이 입국해 배재학당, 경신학교, 이화학당 등을 연이어 문을 열었다.

그후 얼마 안돼 서울 중심이던 근대교육이 점차 지방으로 퍼져나갔다.

전북지역에도 전주신흥학교(전주신흥고), 전주기전여학교(전주기전여고), 군산영명학교(현 제일중·고), 멜볼딘여학교(현 영광중·영광여고)등이 잇따라 설립됐다.

본래 이들 학교의 설립취지는 한국인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아울러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었다.

이런 근대학교 설립이 확산된 배경에는 국가의 부강은 교육의 혁신에 달려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기독교 선교사의 교육사업을 정부에서 적극 지원하면서 비롯됐다.

이들 선교사들은 근대사상(기독교· 신학문 등) 전파와 민중의 교육에도 앞장섰다. 이런 흐름은 나중에 외세에 대한 저항의 이념적인 토대가 됐고 항일운동의 자양분이 되었음은 말해 뭐하겠는가.

선교사들은 사민필지, 산술신편, 만국지지, 중등만국사 등의 책을 많들어 교과서로 사용했을 뿐 아니라 성서번역을 통해 일제의 한글말살정책을 맞서기도 했다.

다만 이들 근대학교와 관련된 내용들은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출처들간 오류도 적지 않다.(참조 내용들로는 나무위키, 군산제일고 및 영광여고 홈페이지, 김중규의 군산역사이야기, 디지털군산문화대전 등 다수)

그 내용 중 하나가 정확한 학교 설립시기다.

# 군산의 서양식 미션스쿨 설립… 멜볼딘여학교와 영명학교 등

멜본딘 여학교/사진 출처=군산시
멜본딘 여학교/사진 출처=군산시
영명고등학교/사진 출처=군산시
영명고등학교/사진 출처=군산시

미국 남장로회 소속 선교사 전킨 (Junckin, W. M.: 한국명 전위렴)이 1903년(일부 내용 1902년 설) 영명학교를 세우면서 멜볼딘여학교도 함께 설립했다.

이들 학교는 1919년 3월 5일 한강 이남 최초로 전 교사ㆍ학생들이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했고, 1941년(내용별 표기 달라)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하고 자진 폐교됐다.

해방 후 1952년 대한예수교장로회 군산노회에서 군산영명중ㆍ고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또한, 이들 학교들은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돼 자매학교로 출발했지만 1965년 4월 21일 군산영명중·고에서 분리 독립 및 이전, 학교법인 영광학원의 멜볼딘여중ㆍ여고로 새로 인가와 함께 새로 출범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이와 똑같은 이름의 학교가 미국과 군산에도 동시에 있었다는 점이다.

앨비 불 선교사가 안식년으로 미국에 돌아갔을 때 그녀는 자신의 모교와 모교회를 방문, 호남 군산에서의 사역을 보고하고 학교발전을 위한 후원을 간절히 요청했다.

이에 메리 볼드윈학교 학생들은 헌금 1,000달러를 매월 송금했고, 버지니아 렉싱톤 장로교회의 여전도회원(메리 볼드윈대학 동문)들도 적극 호응했다. 그렇게 해서 군산의 남학교인 ‘영명학교’는 3층의 교사를, 여학교는 2층의 새로운 교사를 지을 수 있었다. 이를 기념하여 여학교는 ‘멜볼딘(기념)학교’라 했다.

멜볼딘여학교는 나중에 다른 미션 (기독교)학교들과 함께 신사참배 거부하며 자진 폐교했다.

영광여고
영광여고

해방 후 영명학교와 마찬가지로 복교된 이 학교는 다시 1965년 영광학원으로 넘어갔고 1980년 ‘군산영광여중·고’로 개명됐다.

1980년엔 교명을 군산영광여중·영광여자고로 변경하였고, 중학교는 2010년 남녀공학으로 전환되며 군산영광중으로 명칭을 바꿨다. 영광여고는 그대로 이어오고 있다.

이와 함께 영명학교도 1975년 세대제지(주) 회장이었던 고판남이 영명중학교와 영명고등학교를 인수한 후 각각 현재 교명인 군산제일중과 군산제일고로 변경해 오늘에 이어지고 있다.

제일중
제일중

한편, 앨비 불 선교사의 남편 윌리엄 F. 불 선교사(1876~ 1941: 한국명 부위렴)는 1876년에 미국 버지니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1899년에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로 내한하여 군산에서 41년간 사역했다. 그는 엘리자베스 엘비 선교사(1869~1957)와 1902년에 결혼, 선교의 동반자가 되어 군산선교에 헌신했다.

‘메리 볼드윈대학’… 전킨의 아내 메리번 전킨, 불의 아내 앨비 불 등 대학동문

멜볼딘여학교와 관련해서 꼭 빠져선 안될 내용이 있다(김양호 목포기독교근대역사기념사업회 콘텐츠 위원(목사) 2022년 8월 기고내용 등 참조).

근대 여성선교사들에 대한 얘기 중에 그녀들의 출신대학이 바로 그것.

근대기 내한(來韓)한 미 남성 선교사들이 전부 고등교육을 이수하며 실력을 갖추었듯이 여성 선교사들도 대부분 대학을 나온 인재들이었다.

버지니아 스턴톤에 있던 ‘메리 볼드윈대학’의 본래 이름은 미 남장로교가 건립했던 여성 고등교육기관인 ‘어거스타 여자 신학교(Augusta Female Seminary)’였다.

1842년에 개교하였는데, 그 유명한 ‘어머니의 날’을 제정한 사람이 이 학교 동문인 마리아 자비스와 애너 자비스 모녀다.

딸 애너 자비스는 어릴 적부터 어머니로부터 “모든 어머니들의 날을 제정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어머니 사후, 이를 기억하여 기념하기 시작하면서 전 세계로 확산된 게 지금의 ‘어머니날, 혹은 어버이날의 시원’이기도하다.

어거스타 여자신학교를 졸업한 선교사로는 군산에서 사역한 7인의 선발대에는 전킨의 아내 메리번 전킨 선교사, 불의 아내 앨비 불 선교사, 그리고 유진 벨의 아내 로티 벨 선교사 등도 있다.

이 학교의 1회 졸업생 가운데 ‘메리 줄리아 볼드윈’이 있었고, 그녀는 20년쯤 지난 1863년 이 학교의 교장이 된다.

그때는 남북전쟁 시기로 모든 학교가 운영이 어려워 폐교하는 지경이었는데 그녀는 용기있게 학교를 살려내며 이끌었고 1895년 후배들은 그 공로를 인정하여 학교 이름을 ‘메리 볼드윈 신학교’로 개명까지 했다.

1923년 4년제로 재편하면서 ‘메리 볼드윈 대학(Mary Baldwin College)’으로 발전했다.

알락(또는 안락)소학교… 구암초의 전신(?)

구암동산의 사랑방에서 서당형식으로 시작한 한국인 전용 사립초등학교다. 이 학교에서 본격 학교교육을 한 것은 1901년으로 알려졌다. 학교형태는 아니지만 오늘날 주일학교체제를 학교 역사에 넣은다면 그보다 이전일 것으로 추측된다.

구암교회가 운영한 소학교와 중학교가 그 이듬해 분리됐단다. 김중규의 군산역사이야기에 따르면 구암초의 기틀이 1911년 마련됐다고 적고 있다. 하지만 구암초는 이런 내용을 구체적으로 담지 않고 있다.

알락소학교란 명칭은 알렉산더(A. J. A. Alexander) 의사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

그의 후원으로 미국 유학을 통해 의사가 된 오긍선의 작품으로 보여진다.

알락소학교의 경우 본래 정식학교의 형태를 갖추기보단 민가에서 적은 인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시작하여 후에 정식학교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알렉산더 선교사는 1902년 11월 군산으로 파송됐지만 부임 2개월도 채 되지 않아 부친의 별세 소식을 접하고 곧바로 귀국한다.

그는 그때 어학교사 겸 조사였던 오긍선(1878~ 1963: 우리나라 피부의학분야 선구자)을 데려간다. 오긍선은 알렉산더의 적극적인 지원과 도움으로 켄터키주 센추럴 대학과 루이빌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학위를 받고 1907년에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 자격으로 귀국, 군산야소병원 원장 등을 역임한다.

오긍선은 귀국 후 자신의 은인인 ‘알렉산더의 뜻을 기념’해 세운 학교가 ‘알락소학교’다.

한편, 영명학교는 다음 편에서 다시 체계적으로 정리키로 한다. 그곳의 졸업생 중 항일애국지샤와 근대학교 관련된 내용들을 다룰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